1일차 |
DB 성능개선 평가하기 DB 성능 분석하기 (이론/실습) |
- 튜닝의 개요와 개념
- 데이터베이스의 발전방향 - 성능을 저하시키는 기업의 문제점 - 좋은 성능을 위한 요소 - 튜닝 방법론 - Key To Tuning
- 튜닝 로드맵을 활용한 방법과 절차 분석
- DBMS의 구조
- SELECT문 처리과정 - DML문 처리과정 - COMMIT문 처리과정
- SQL 튜닝도구
- EXPLAIN PLAN 명령어 - SQL*TRACE 기능 - V$SQLAREA 기능 - CURSOR_SHARING 파라마터 활용 |
2일차 |
DB 성능 분석하기 DB 성능 개선하기 (이론/실습) |
- 옵티마이저
- 옵티마이저의 개념 - 공식기반 옵티마이저 실행 원리 - 공식기반 옵티마이저 예외 처리 조건 - 비용기반 옵티마이저 실행 원리 - 비용기반 옵티마이저 문제점과 대처방안 - DBMS_STATES 패키지를 이용한 객체 현황 수집 및 분석
- 기타 성능 기법
- HINT절을 이용하여 실행 계획 분석하고 결정 - 병렬 옵션을 이용한 시스템 자원의 활용 방법 |
3일차 |
DB 성능 개선하기 DB 성능개선 평가하기 (이론/실습) |
- 인덱스 검색과 성능관계
- 인덱스 구조 분석 - 인덱스의 종류 - 인덱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- 컬럼 분포도가 일정하지 않는 경우의 튜닝 - 인덱스의 밸런스 분석 - 불필요한 인덱스의 제거 - 인덱스 설계 시 주의사항 - 싱글 컬럼 인덱스와 결합 컬럼 인덱스의 성능 차이와 설계 방법 - 인덱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의 SQL 분석
- 조인문과 성능관계
- 조인의 종류 - 조인문 실행시 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 - 성능 저하 현상 발생원인 분석 - 하나의 테이블 검색과 여러 개의 테이블을 조인하여 검색하는 경우 비교
- 기타 성능 개선을 위한 솔루션
- 클러스터 테이블의 종류 - 파티션 테이블의 종류 - 실체화뷰를 이용한 성능 개선 |
4일차 |
DB 성능개선 평가하기 (이론/실습) |
- 인스턴스 튜닝
- 메모리 영역에 대한 튜닝 - 공유 풀 영역 - 데이터버퍼 캐시 영역 - 로그버퍼 영역 - Automatic Memory Management
- 데이터베이스 튜닝
- 데이터 파일의 I/O 튜닝 - 리두로그 파일의 I/O 튜닝 - 언두 세그멘트의 튜닝 - 임시 세그멘트의 튜닝 - Lock문제로 인한 성능 문제 및 해결방안 |